모금을 넘어 사회공헌과 가치 창출로

교내소식

물 부족 문제 해결에 한 걸음 더 나아가다

등록일 25-01-13 10:34
  • 조회수 5

물 부족 문제 해결에 한 걸음 더 나아가다

2025-01-10 연구/산학


융합바이오·신소재공학과 유정목 교수 연구팀이 물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태양광열 증발기를 제작하여 새로운 기술적 접근을 제시했다. 사진은 셀룰로오스 나노섬유와 CO2 레이저 탄화층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구조의 친환경 태양열 증발기 개요.

융합바이오·신소재공학과 유정목 교수 연구팀, 친환경 태양광열 증발기 제작
저비용, 고효율의 지속 가능한 기술


융합바이오·신소재공학과 유정목 교수 연구팀이 셀룰로오스 나노섬유(CNF)를 기반으로 한 태양광열 증발기를 제작하여, 물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기술적 접근을 제시했다. 이 증발기는 CO2 레이저 탄소화 공정과 아이스-템플레이팅(Ice-Templating) 기법을 결합해 효율적인 물 증발과 환경친화적인 물 처리를 실현한다. 따라서, 기존의 고비용 담수화 기술을 대체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약 20억 명이 물 부족 문제에 직면해 있다. 기후 변화와 환경 오염, 인구 증가 등 다양한 요인으로 그 문제가 점점 심화되고 있다. 유엔은 2050년까지 세계 인구의 약 30%가 물 부족 상태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한다. 이에 따라 물을 효율적으로 정화하고 증발시키는 지속 가능한 기술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셀룰로오스 기반의 친환경 기술
연구팀은 셀룰로오스를 기반으로 한 태양광열 증발기를 제작하여 물 부족 문제 해결에 도전했다. 셀룰로오스는 나무와 식물에서 자연적으로 얻을 수 있는 물질이다. 생분해가 가능하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 연구팀은 이 셀룰로오스를 셀룰로오스 나노섬유(CNF) 형태로 가공해 물을 빠르게 전달할 수 있는 섬유 구조를 만들었으며, 이를 다시 셀룰로오스 에어로겔(Cellulose Aerogel, CA)의 형태로 변형했다. 에어로겔은 공기처럼 가볍고 다공성이 뛰어난 특성의 물질로, 열을 잘 전달하고 물을 빠르게 이동시켜 태양광열 증발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태양광열 증발기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두 가지 혁신적인 기법을 결합했다. 첫 번째는 아이스-템플레이팅 기법이다. 이 기법은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를 분산시킨 액체를 얼음으로 얼려 다공성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이다. 얼음이 녹을 때 생긴 빈공간은 효율적인 물 흐름 경로를 제공하며, 증발 성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두 번째는 CO2 레이저 탄소화 공정이다. 이 공정은 셀룰로오스 에어로겔 표면에 레이저를 사용해 광열 변환층을 추가하는 방법이다. 레이저로 만들어진 탄소층은 다양한 파장의 태양열을 매우 효율적으로 흡수하고, 열로 변환하는 성능을 향상시켜 물 증발 속도를 빠르게 한다.

효율적인 증발 성능과 환경 보호
제작된 태양광열 증발기는 물 증발 속도와 효율성 면에서 우수한 성과를 기록했다. 순수 물에서 1.9 kg m⁻² h⁻¹의 증발률과 83.8%의 증발 효율을 달성했으며, 모의 해수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했다. 또한, 연구팀은 증발기 표면에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을 덧입혀 부력을 향상시키고 열 손실을 줄여 최적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셀룰로오스를 사용한 증발기는 성능 향상뿐만 아니라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기존의 담수화 과정에서는 필터링 단계에서 미세 입자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지만,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는 물 흐름을 원활하게 만들어 증발 과정에서 미세플라스틱이 생성되지 않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외에도 자가 세척 기능을 통해 증발기 표면에 축적된 염을 자연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염 축적 문제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유정목 교수 연구팀의 기술은 물 부족 지역에서의 해수 담수화, 농업용수 정화, 산업 폐수 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 실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셀룰로오스와 같은 친환경 소재를 사용하여 기존 담수화 기술에서 발생하는 환경 오염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경제적이고 지속 가능한 물 처리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유정목 교수는 “대학원생 연구자들과 다양한 아이디어를 공유하며 얻을 수 있었던 값진 결과였다. 이번 연구를 기반으로 물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경제적이고 지속 가능한 기술 개발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환경과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연구를 계속 이어나가고 싶다”라는 포부도 전했다.

연구팀의 성과는 11월 17일 세계적인 학술지인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에 게재되었으며, 물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혁신적이고 지속 가능한 기술로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글 정예솔 wg1129@khu.ac.kr

ⓒ 경희대학교 커뮤니케이션센터 communication@khu.ac.kr